상담심리학과
-
학과문의
- counseling@khcu.ac.kr
- 02-3299-8628
-
학과링크
취득가능자격증 및 수료증
청소년상담사 3급(국가), 임상심리사 2급(국가), 상담심리사 2급, 내러티브상담사, 인증코치(KAC), 드라마심리상담사 등
전공 | 자격증 | 항목 | 내용 |
---|---|---|---|
상담심리학과 | 청소년상담사 3급 |
시행처 | 한국산업인력공단(http://www.hrdkorea.or.kr) |
시험과목 | 필기 1. 발달심리, 2. 집단상담의 기초, 3. 심리측정 및 평가, 4. 상담이론, 5. 학습이론, 6. 청소년이해론 ※ 경희사이버대학교에서 상담심리학과 일정 교과목 4개 이상 이수 및 상담학사학위 취득 시, 필기시험 응시자격 부여 (관련 안내 사이트 : https://www.khcu.ac.kr/department/contents.jsp?m=13189&SITE_GRP=DEPARTMENT07&lnb=1) 면접 면접시험 항목 1. 청소년상담자로서의 가치관 및 정신자세 2. 청소년상담을 위한 전문적 지식 및 수련의 정도 3. 예의, 품행 및 성실성 4. 의사표현의 정확성과 논리성 5. 창의력, 판단력 및 지도력 자격수련 (100시간)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에서 주관하는 자격 수련 중 상반기/하반기 중에 이수하면 자격증 부여 (관련 안내 사이트 : http://www.youthcounselor.or.kr) |
||
검정방법 | 필기 : 객관식 5지택일형, 매 회마다 과목당 25~30문항 사이에서 출제 면접 : 2인 1조로 면접관 3인에게 면접 실시 |
||
합격기준 | 필기 : 매 과목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매 과목 40점 이상, 전 과목 평균 60점 이상 면접 : 면접위원(3인)의 평정점수 합계가 모두 15점(25점 만점) 이상 ※ 다만 면접위원의 과반수가 어느 하나의 평가사항에 대하여 1점으로 평정한 때에는 평정점수 합계와 관계없이 불합격으로 한다. |
||
관련 안내 사이트 |
http://www.q-net.or.kr/crf005.do?id=crf00503&jmCd=9755 | ||
임상심리사 2급 |
시행처 | 한국산업인력공단(http://www.hrdkorea.or.kr) | |
시험과목 | 필기 1. 심리학개론, 2. 이상심리학, 3. 심리검사, 4. 임상심리학, 5. 심리상담 ※ 임상심리와 관련하여 1년이상 실습수련을 받은 자 또는 2년이상 실무에 종사한 자로서, 학사학위(전공 무관) 소지자는 응시자격 취득 (관련 안내 사이트 : https://www.khcu.ac.kr/department/contents.jsp?m=13189&SITE_GRP=DEPARTMENT07&lnb=1) 실기 1. 임상 실무 |
||
검정방법 | 필기 : 객관식 5지택일형, 과목당 20문항 씩 총 100문제(2시간 30분) 실기 : 필답형(3시간) |
||
합격기준 | 필기 : 매 과목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매 과목 40점 이상, 전 과목 평균 60점 이상 실기 :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60점 이상 |
||
관련 안내 사이트 |
http://www.q-net.or.kr/crf005.do?id=crf00503&jmCd=9540&gSite=Q&gId | ||
내러티브 상담사 2급 |
시행처 | 한국이야기치료학회(http://www.narrative.or.kr) | |
시험과목 | 필기 1. 이야기치료 철학 및 윤리, 2. 이야기치료 기법 ※ 한국이야기치료학회 회원가입한 자로서 경희사이버대학교 상담심리학과에서 내러티브상담 과목을 이수한 자는 응시자격 취득 |
||
검정방법 | 1)이야기치료(기초교육)40시간-내러티브 상담과목 수료시 인정가능 2)실천(임상) : 3사례(10시간)이상 3)본 학회 주관 워크숍 혹은 학술대회 : 1회 이상 4)반영팀 참석 : 2회 이상 5)사례요약 : 3사례 요약본 6)필기 |
||
합격기준 | 필기 : 두 과목 모두 60점 이상 기타 수련 활동 및 자격심사 통과 |
||
관련 안내 사이트 |
http://narrative.or.kr/shop/content.php?co_id=hak_narra | ||
KAC (Korea Associate Coach) |
시행처 | (사) 한국코치협회(www.kcoach.or.kr) | |
응시자격 | 한국코치협회에서 인증하는 프로그램 20시간 이수 또는 코칭학과 학점수료 | ||
응시절차 | 서류심사 → 필기시험 → 실기시험 | ||
검정방법 | 서류 심사 교육(학과인정-인증서류) 및 코칭실습리스트(20시간) 외 코치추천서, 고객추천서 2통씩 외 동의서 (한국코치협회 서류다운) - 필기 : 온라인 시험 (합격 기준 : 70점 이상) 1) ACPK 지원 경우: 코칭철학과 윤리, 코칭스킬, 코칭실제와 적용 등 3과목, 총 40문항 2) 포트폴리오 지원 경우: ACPK 트랙의 3과목 40문항과 코칭개요 20문항, 총 60문항 * ACPK지원 : 한국코치협회가 인증하는 프로그램의 수료자들이 지원할 수 있는 방법 * 포트폴리오지원 : ACPK를 수료하지 않았으나 한국코치협회가 요구하는 역량과 윤리수준을 갖춘 코치들이 별도로 지원하는 방법 - 실기 (합격 기준 : 항목별 기준 점수 이상, 총 70점 이상) : 실기시험은 전화로 1시간 동안 진행되며, 코치윤리와 철학, 정의 및 태도, 경험과 성품, 코칭스킬의 3가지 영역에서 평균 70%이상을 득한 자를 합격으로 한다. 단 한가지 영역에서 50%이하인 경우 과락 처리한다. |
||
관련 안내 사이트 |
한국코치협회 (www. kcoach.or.kr) 또는 아하가족성장연구소(02-379-8558)로 문의 | ||
상담심리사 2급 |
시행처 | 한국상담심리학회(www.krcpa.or.kr) | |
시험과목 | 상담심리학, 발달심리학, 이상심리학, 학습심리학, 심리검사 | ||
응시절차 | 학부과정 중 과목이수 → 학회가입 → 수련+시험+2년 실무경력 → 심사 → 자격발급 | ||
응시자격 | - 상담관련분야 학사학위 취득 후, 2년(24개월) 이상의 상담경력 (주 1회 이상) - 상담관련 석사 입학 후, 1년(12개월) 이상의 상담경력 - 학부과정 중 과목이수 (상담 3과목, 기초 3과목) ※ 상담관련 분야의 학사학위 취득 후 준회원으로 한국상담심리학회 가입 신청 ※ 수련의 경우, 한국상담심리학회 홈페이지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으며, 각각의 수련을 진행함에 소정의 비용이 요구됨 |
||
관련 안내 사이트 |
www.krcpa.or.kr www.khcu.ac.kr/department/contents.jsp?m=13189&SITE_GRP=DEPARTMENT07&lnb=1 |
||
군상담심리사 3급 |
시행처 | 대한군상담학회(www.kamc.or.kr ) | |
시험과목 | 심리학 개론, 상담심리학, 이상심리학 | ||
응시절차 | 필기시험 -> 수련 | ||
응시자격 |
|
||
관련사이트 | 대한군상담학회(www.kamc.or.kr )
|
||
다문화사회전문가 2급 수료증 |
시행처 | 법무부 | |
시험과목 | 시험 없음 | ||
검정방법 | 검정 없음 | ||
수료기준 |
|
||
이수과목 |
|
졸업 후 진로
- 전문상담기관 : 아동상담센터, 청소년상담센터, 청소년수련관, 부부상담센터, 가족상담센터, 노인상담센터, 치매상담센터, 다문화가족상담센터, 성폭력상담기관, 중독상담센터 등
- 일반기업 : 기업부설 상담소, 직업상담소, 기업연수원, 컨설팅회사 등
- 교육기관 : 초·중·고등학교 상담실, 대학교 학생생활 상담센터 등
- 사회복지시설 : 종합사회복지관, 노인복지관, 노인요양시설, 아동복지시설 등
- 의료기관 : 정신보건센터, 호스피스, 병·의원 등
- 공공기관 : 국방부, 경찰청 등
- 심리치료센터 : 놀이치료, 음악치료, 미술치료, 이야기치료, 드라마심리치료센터 등
- 대학원 진학 : 상담·심리 대학원, 사회복지 대학원 등
- 기타 : 법무부 사회통합프로그램 한국사회 이해 과정 담당 강사, 법무부 귀화민간면접관, 사회통합프로그램 구술시험관, 다문화가족지원센터, 다문화예비학교 강사 및 직원, 학교 다문화교육 코디네이터 및 전문 교사, 지방자치단체 다문화관리 담당 공무원, 다문화 관련 NGO 및 자원봉사센터 근무 등